Home ▶ 게시판 ▶ 소식란
소식란

제목청각장애인 통신중계서비스 대상자 확대2007-12-13
작성자관리자
첨부파일1
첨부파일2
첨부파일3
첨부파일4
첨부파일5
차기정부의 장애인정책과 과제-③정통부

제2차장애인복지발전5개년계획(2003~2007)이 올해로 마무리됨에 따라 각 정부부처는 제3차5개년계획을 수립해야 할 시점이다. 지난 11일 한국장애인재활협회의 주최로 개최된 ‘제15회 RI KOREA 재활대회’에서는 각 부처별 장애인복지정책 추진계획을 미리 살펴볼 수 있는 자리가 됐다. 정부는 향후 장애인정책을 어떻게 구상하고 있는지, 이날 정부 관계자들의 발제내용을 통해 살펴본다.

[특집]차기정부의 장애인정책 비전과 주요추진과제-③정보통신부

정보통신부에서는 정보문화팀 홍영우 서기관이 발제를 맡았다. 홍 서기관에 따르면, 정보통신부에서는 지난 8월 경제정책조정회의에 안건으로 보고한 ‘정보통신분야 장애인 지원방안’을 토대로 장애인 정보화 정책방향을 준비하고 있다.

정보통신부는 향후 장애인 정보화 정책의 방향을 정보통신기술을 통해 장애인의 독립적인 자기의사 결정과 사회참여를 지원할 수 있는 기반환경을 조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정보통신 보조기기가 필요한 장애인의 수요를 조사해 보조기기의 보급을 촉진하고, 교육·취업·일상생활 이용 등 IT를 활용한 장애유형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정보화 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두 번째는 장애인 정보화교육의 질을 개선하는 것. 정보화교육을 받기 어려운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방문정보화교육을 확대하고,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유형별 정보화 교육과정을 개발·보급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청각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IT전문교육을 확대하고 노동부등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소호’(SOHO)를 희망하는 장애인에게는 인터넷 창업교육 및 컨설팅을 지원할 예정이다.

마지막 세 번째는 장애인 웹 접근성을 강화하는 것. 현재 시범서비스 중인 통신중계서비스의 서비스 이용자 확대, 중계사 증원 등을 통해 2012년까지 청각·언어장애인이 비장애인과 의사소통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또한 장애인의 웹 접근성 강화를 위해 공공부문에서는 웹 접근성 준수 제도화를 도입하여 공공기관 웹 접근성 제고를 추진하고, 민간부문의 경우 웹 접근성 실태조사, 기술자문, 품질마크 부여 등을 통해 확산을 유도할 계획이다.

출처 : 에이블뉴스<주원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