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보호고용 다양화 … 복지부 1년간 운영비 보조
중증장애인이 100명이상 일하는 회사 설립이 추진된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오는 7월 이와 같은 내용의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 모델 시범사업’을 벌인다고 2일 밝혔다.
복지부는 이 사업을 제대로 시행하기 위해 외부 기관에 준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적정한 모델과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실시 매뉴얼 개발 등을 4월 중에 마칠 방침이다.
오는 7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시행되며 서울지역 또는 중도시에 각각 1개씩 모두 2~3개 사업장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오는 6월까지 시범지역 및 대상시설을 선정한다. 업종은 제조업, 서비스업 제한이 없다.
100명 정도의 다수 중증장애인이 일하는 사업장 마련은 이번이 처음이다. 소규모 장애인직업 재활시설 운영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직업재활시설 모델이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한 사업장의 장애인 고용은 30~50명 정도의 수준이었다.
복지부는 이번 시범사업의 배경에 대해 △중증장애인에 대한 고용이 한계에 이르렀고 △능동적·맞춤형 복지로 전환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복지부 김수영 장애인소득보장과장은 “장애인 고용의 다양한 모델을 개발해보겠다”며 “우수 사례로 만들어 전국으로 확산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 과장은 “한 지자체에서 이와 같은 형태로 직영을 하겠다고 나섰다”며 “일단 1년간 운영비 일부를 국고와 지방비로 지원하면서 정착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이와 별도로 취업이 어려운 중증장애인 3000명에게 건강도우미 주차단속보조요원 도서관사서보조 우편물분류보조 등 다양한 일자리를 주선한다. 이들은 하루 3~4시간 근로시간에 월 20만원의 소득이 보장된다.
현재 중증장애인 고용율은 26.1%에 불과하다.
한편 복지부는 장애인 고용 확대뿐만 아니라 보육서비스 개선과 체납건강보험료 감면 등이 포함된 저소득층·서민을 위한 ‘희망디딤돌 복지대책’을 이날 발표했다.
출처 : 내일신문<범현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