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게시판 ▶ 소식란
소식란

제목청년취업 56개월째 감소세2009-08-17
작성자관리자
첨부파일1
첨부파일2
첨부파일3
첨부파일4
첨부파일5
우리나라 청년층의 고용상황이 개선 기미를 보이지 못한 채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중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7만 6천명 감소한 가운데 15~29세 청년층 취업자는 이보다 더 많은 11만 2천명 감소했다.

전년 동월 대비 청년층 취업자 수는 2004년 12월 마이너스로 돌아선 이후 지난달까지 56개월 연속으로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청년층 취업자의 감소는 얼핏 보면 청년층 인구가 줄어든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2004년 12월 15~29세 인구는 1천 4만 3천명이었지만 올해 7월 977만 8천명으로 26만 5천명 감소했다.

하지만 다른 지표들을 비교해보면 단순히 인구 감소 이상으로 청년층의 고용난이 가중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같은 기간 청년층 취업자는 453만 4천명에서 409만명으로 44만 4천명 줄어들었는데, 이는 인구 감소폭 26만 5천명보다 67.5%나 많은 수치다. 인구 감소폭보다 청년층 취업자 감소폭이 훨씬 더 컸다는 뜻이다.

또 청년층 고용률은 2004년 12월 45.1%이던 것이 올해 7월 41.8%로 떨어졌고, 경제활동 참가율도 49.6%에서 45.7%로 낮아졌다.

경제활동에 참가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 역시 506만 5천명에서 530만 9천명으로 24만 4천명 더 늘어났다.

특히 7월 기준으로 비경제활동 인구 중 취업준비 등과 같은 구직활동에 뜻이 없는 '쉬었음' 인구는 28만 8천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6만 6천명 늘었다. 이 같은 증가폭은 전 연령층에서 가장 큰 것이다.

실업자 역시 7월 기준으로 전년 동월보다 15만 9천명 증가한 가운데 15~29세 청년층이 4만 5천명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청년층 고용난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것은 이들이 경기변동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데다 기대임금과 실제 임금 간 괴리가 커 고용 기대치를 충족하는 직장을 구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경제연구원 손민중 연구원은 "청년층은 경기변동에 취약한 계층인데다 이들은 노동시장에서의 협상력이 낮아 우선 정리대상에 포함되는 불안한 지위에 놓여 있다"며 "청년층의 기대임금은 계속 올라가고 있지만 실제 임금은 이에 못 미치는 것도 청년 고용난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한국개발연구원 김용성 연구위원은 "청년층 학력이 예전보다 높아졌지만 고학력 일자리가 이를 흡수할 만큼 늘지 않고 있어 청년층 취업난이 단기간에 해소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