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찾아오시는길
사이트맵
로그인
협회소개
인사말
설립목적
협회연혁
운영조직
정회원
후원회원
찾아오는길
산하지부
전국지부
전국지회
부설연구소
이워크 연구소
이러닝 연구소
채용정보
채용정보
인재정보
취업상담실
취업상담실소개
무료취업 상담실
인사노무/산재상담
경영컨설팅지원
창업지원 상담
이러닝
이러닝 아카데미
한국금융 보험방송
자료실
법령자료
복지자료
협회자료
게시판
소식란
교육안내
공지사항
직원게시판
세상보기
투표하기
Home ▶ 취업상담실 ▶ 무료취업상담실
무료취업상담실
취업상담실
취업상담실소개
무료취업상담실
인사노무/산재상담
경영컨설팅지원
창업지원상담
-장애인창업자금융자
-장애인고용사업주지원제도
제목
취업 희망하는 고령층 78% "구직활동 포기"
2006-07-05
작성자
상담실
첨부파일1
첨부파일2
통계청이 4일 발표한 ´2006년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일자리 문제가 청년층(15∼29세)뿐 아니라 고령층(55∼79세)에서도 심각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조사 당시(지난 5월) 고령층의 실업률은 2.1%로 청년층(7.9%)은 물론 전체 실업률(3.2%)보다 낮았다.
그러나 고령층의 57.9%(482만4000명)는 여전히 취업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을 원하는 이유로는 생활비 마련이 34.3%로 가장 많았다.
희망임금 수준은 월평균 ´50만∼100만원 미만´이 38.1%로 가장 많았으나 ´50만원 미만´이라도 받고 일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사람도 13.9%나 됐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고령층의 취업의사는 이처럼 높게 나타났지만 정작 구직활동에는 소극적이라는 점이다.
지난 1년간 구직경험을 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12.7%(105만8000명)에 불과했다.
취업을 희망하는 고령층 중에서 약 78%는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채 자포자기 상태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청년실업률은 지난해 7.4%로 전년(7.8%)보다 소폭 떨어지긴 했으나 이는 구직 활동 자체를 포기하는 청년들이 늘어난 결과로 보인다.
이 기간 동안 비경제활동 인구가 늘면서 경제활동참가율은 16.3%에서 15.3%로 1%포인트나 하락했다.
청년층 역시 상당수가 구직활동 자체를 아예 포기했다는 방증이다.
전체 청년층 가운데 직업훈련 경험이 있는 사람은 16.2%에 불과했다.
청년층은 막상 일자리를 구하더라도 이직률이 높았다.
이들의 첫 직장 근무기간은 평균 21개월에 불과했다.
첫 직장에서 1년을 채우지 못하고 직장을 옮긴 경우도 44.6%나 됐다.
청년층 취업자 2명에 1명꼴로 1년 내에 직장을 그만둔 셈이다.
이직 사유는 보수나 근로시간 등 ´근로여건 불만족´이 41.1%로 가장 많았고,´육아 출산 등 개인적 사유´(21.3%);´전망이 없어서´(10.3%) 등이 뒤를 이었다.
출처 : 한국경제신문 김동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