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장터 옥션에서 향기나는 종이장미를 판매하는 정경민씨는 이 분야에서 성공하려면 톡톡 튀는 아이디어는 물론 시장에서 나의 물건이 얼마나 경쟁력이 있는지를 수시로 평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신문]체인점 모집 광고를 보면 대부분 시설비·인테리어비·점포비 등 각종 항목을 제시하며 1억원 이상의 목돈을 요구한다. 그러나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 아이디어와 성실함만 있으면 1억원을 훨씬 밑도는 소자본으로도 사업을 시작할 수 있다. 규모는 차츰 키워갈 수 있는 만큼 소자본으로 시작하는 게 안전한 측면도 있다. 물론 성패여부는 본인에 달려 있다.5회에 걸쳐 성공적인 소자본 창업의 길을 소개한다.
국내 1위 온라인 장터인 옥션의 올해 1·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3% 성장했다. 그만큼 개인 대 개인간의 온라인 상거래가 활성화되고 있다는 얘기다. 온라인 장터에서 누가 어떻게 성공했는지, 창업을 위한 노하우와 핵심전략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아이디어와 소자본…그리고 근면
인터넷에서 향기나는 종이장미를 판매하는 정경민(30)씨. 조경학과 4학년이던 지난 2003년 옥션을 통해 이 시장에 뛰어들었다. 온라인 장터에서 장사하기 위해 필요한 컴퓨터, 사진기, 스캐너 등은 갖고 있거나 주변에 있는 기기들을 썼다. 사업자등록을 하고 사진을 찍어 상품을 올렸다. 당시 순익은 100만원선. 이어 사진에도 공을 들였다. 불만족시 100% 환불이라는 조건도 걸었다. 택배 회사에 배달시간을 잘 지키도록 했다. 이렇게 8개월이 지나자 매출은 1000만원에 육박했다. 재료비, 택배비 등을 빼고도 순익으로 400만원을 벌고 있다.
●가사와 육아도 겸업하는 그녀
주부 윤현순(32)씨는 자신이 만든 액세서리 제품을 2002년 초 온라인 장터를 통해 팔다 이듬해부터는 전문 온라인 쇼핑몰 ‘해피비즈’도 함께 운영 중이다. 비즈공예란 각양각색의 구슬로 귀걸이, 목걸이 등 액세서리를 만드는 것. 재료 구입부터 디자인, 제작, 포장, 배송까지 모두 혼자 한다. 이를 위해 윤씨는 하루에 6시간 정도를 투자한다. 창업 이후 매일 아침 6시에 일어날 만큼 부지런을 떤다. 그녀는 “친절한 서비스가 고객수를 결정한다.”면서 “늦어도 이틀 이내에는 고객이 물건을 받도록 해야 하며 게시판 답글은 기본”이라고 말한다. 월 평균 매출은 750만원. 이 중 40%가 마진으로 남는다.
●온라인 장터를 이용한 투잡스
장병취업신문에서 고객관리 업무를 맡고 있는 윤성진(29)씨는 온라인 장터와 쇼핑몰에서 아기용 물티슈와 아동복을 팔고 있다. 퇴근후 매일 2∼3시간 정도를 쇼핑몰 관리에 쓴다.2004년 처음 옥션에서 아기용 물티슈를 팔았고 본격적으로 아동복을 판 지는 3∼4개월 정도 됐다. 현재 한 달에 400∼500벌 정도를 팔아 월 매출이 1000만원에 이른다. 이 중 옥션 수수료, 신용카드 수수료, 택배비 등을 빼면 매출액의 약 30%인 300만원이 순익으로 남는다. 창업 준비에만 들인 시간이 1년여.
●친지나 이웃의 장점도 알아야
소자본 창업이라도 창업성공률은 높지 않다.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창업은 쉽게 뛰어들 수 있지만 조금 어려우면 쉽게 포기하는 경향이 크다. 강병오 FC창업코리아 대표는 “온라인 창업의 성공률은 20%도 미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면서 “충분한 사전 준비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무엇보다 자기가 잘 알고, 잘 하는 분야를 아이템으로 선정해야 한다. 대형 쇼핑몰과 비교해도 경쟁력이 있어야 한다. 가족, 친지, 이웃 등 가까운 주변을 살펴보면 팔 만한 상품이 있다. 확장은 그 뒤의 일이다.
싸고 좋은 제품을 파는데도 신뢰는 기본. 제품 설명은 상세할수록 좋다. 음식의 경우 산지, 중량, 재료, 생산일, 유통기한까지 표시한다. 중요한 것은 장단점을 가리지 않고 알려야 신뢰가 쌓인다는 것. 일시적인 눈속임에 의해 팔렸다면 반품을 각오해야 한다. 왕복 택배비까지 내야 해 고객도 잃고 손해도 본다.
현장경험이 중요하다. 동대문 의류를 떼어 파는 상당수 옥션 상인들도 동대문에서 매장 운영 경험이 있다. 고객 응대 기술도 익히고 시장이 돌아가는 원리나 도매상에 대한 네트워크 등이 있어야 가격경쟁력도 있다.
온라인 지식도 필요하다. 사전에 컴퓨터·인터넷 지식을 충분히 습득한 후 창업해야 기술적으로 능숙하게 진행할 수 있다.
●장터에서 물건을 팔려면?
수수료를 내고 등록을 한 뒤 물건을 판다. 물건이 팔리면 낙찰수수료를 온라인 장터에 내야 한다. 이 금액은 총 판매가의 6∼8% 수준. 예컨대 옥션의 경우 등록수수료는 최저 200원에서 최고 3500원까지. 판매될 경우 낙찰수수료는 제품이 2만원 미만은 낙찰가의 6%,25만원 이상은 1.5%. 이밖에 물론 재료비, 인건비, 포장비. 택배비 등은 기본. 온라인 장터는 옥션,G마켓,LG이숍, 인터파크, 온캣 등이 있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출처:[서울신문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