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취업상담실 ▶ 창업지원상담
창업지원상담

제목[IMF10년 한국기업의 빛과 그림자]되살아난 ‘벤처 생태계’2007-02-01
작성자상담실
첨부파일1
첨부파일2
2부: 영욕의 벤처 흥망사- ④ 벤처 부활의 노래

2004년 ‘新벤처정책’으로 암흑기 벗고 재도약

코스닥 진입요건 완화ㆍ1兆펀드로 자금 숨통도

2004년 12월 24일 벤처업계에 ‘산타클로스 선물’ 보따리가 풀어졌다.

정부가 신(新)산업정책 일환으로 ‘벤처기업 활성화대책’을 발표한 것이다. 2000년 버블붕괴 이후 4년간 숨을 죽여온 벤처업계는 환호성을 질렀다. 코스닥시장은 이를 선반영해 지난 4년간의 기나긴 침체를 뚫고 9월부터 상승세를 타온 터였다.

신벤처정책의 핵심은 ▷벤처기업의 코스닥시장 진입요건 완화 ▷1조원 규모의 모태 펀드 설립을 통한 간접적 투자 지원 ▷실패한 1, 2세대 벤처기업인들에게 재기 기회를 주자는 패자부활제 등으로 요약됐다. 벤처업계가 줄기차게 주장해온 건의사항들이 대부분 적극 반영된 결과였다.

벤처활성화 대책은 이듬해 6월 다시 ▷창업 초기 기업에 대한 창업 보육 활성화 ▷투ㆍ융자 확대 ▷기술평가 및 기술 사업화 촉진 ▷창업투자 촉진 지원 강화의 추가 대책을 내놨다.

당시 정책을 입안했던 중기청 실무자는 “벤처기업 부활을 통해 침체된 코스닥시장을 살리고, 자금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국가경제를 일으켜보자는 취지였다”고 말했다.

▶벤처 부활, 막전막후=2004년 8월 4일 코스닥은 사상 최저치인 324.71포인트를 기록하며 수렁을 헤맸다. 해외시장 요인도 작용했지만 벤처기업에 대한 국민적 실망이 극에 달했기 때문이었다.

노무현 정부는 경제 활력을 회복하고 성장 동력 및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신벤처 정책 구상에 들어갔다. 4년간의 시련을 거치며 벤처기업들에 대한 옥석이 어느 정도 가려졌고 정당한 시장의 평가를 받을 때가 됐다는 업계의 요구도 한몫 했다. 정책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은 업계가 지속적으로 건의해 온 사항들이 대부분 수용됐다.

막전막후 주인공들은 장흥순 당시 벤처협회장을 비롯해 변대규 휴맥스 사장, 안철수 안철수연구소 의장, 김형순 로커스홀딩스 회장, 조현정 비트컴퓨터 회장 등. 이른바 잘나가는 벤처 1세대들이었다. 이들은 정부 및 청와대, 국회, 금융계 인사들을 만나 ▷대기업이나 일반 중소기업에 비해 벤처의 매출성장률과 수익이 배나 높은 점 ▷대기업은 고용없는 성장을, 중소기업은 해외 이전에 바쁘지만 벤처는 국내에 기반을 두고 있어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 점 ▷벤처 정신이 강한 국민성 ▷4년간의 벤처 검증 등을 적시하며 ‘한국의 희망은 벤처기업’뿐임을 집요하게 설득했다.

정부와 업계는 그러나 벤처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여전히 높은 점을 감안해 정부의 직접 개입에 의한 지원보다는 자연스런 벤처생태계 조성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기업의 진입과 퇴출이 시장원리에 따라 이뤄지는 벤처 인프라를 구축키로 한 것. 이것이 소위 ‘벤처 10대 어젠다’였다. 벤처기업들은 암흑기 4년 동안 기술력과 도덕성을 갖춰 살아남은 벤처기업들이 회생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며 크게 반겼다.

신벤처 활성화정책은 나름대로 위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우선 4년 암흑기 동안 극적으로 줄어들던 벤처기업 수가 다시 늘기 시작했다. 2001년 1만1392개였던 벤처기업 수는 해마다 줄어 2004년에는 7967개에 불과했다. 그러나 신벤처정책 이후 2005년 9732개, 2006년 1만2218개로 다시 급증했다. 코스닥도 2004년 8월 4일 사상 최처지인 324.71포인트를 기록한 뒤 그해 말에는 380선을 돌파했다.

신벤처정책의 핵심인 1조원 규모의 모태펀드는 벤처캐피털의 자금 확보에 힘을 실어줬다. 벤처캐피털 신규 투자 실적도 2005년 7573억원, 2006년 7333억원 수준으로 뛰어올랐다. 이는 극심한 코스닥 침체기였던 2002~2004년 신규 투자액보다 20%가량 증가한 수치다.

벤처캐피털의 경영권 지배 허용, 사모투자펀드(PEF) 활성화, 창업투자회사에 대한 감독 강화 등도 코스닥지수를 2005년 한때 750포인트까지 치솟게 했다.

조현정 벤처기업협회장은 “2004년 12월 수립된 ‘벤처 활성화대책’은 벤처기업이 재도약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 구축에 큰 힘을 보태주었으며 무엇보다 시장 건전화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기대감만 높았을 뿐 실질적인 도움은 되지 못했다’는 볼멘소리도 나오고 있다. 패자부활제나 프리보드 활성화에 대한 결과물이 없었고, 인프라 조성에만 초점을 맞춘 나머지 체감할 만한 지원책이 나오지 않았다는 불만이다.

이 때문에 최근 들어 벤처육성특별법 연장, M&A시장 확대, 투자은행(IB)제도 정착 등에 대한 목소리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출처 : 헤럴드경제<조문술 기자>